목록계수 (2)
정의의 수학
앞에서 우리는 '항'이 무엇인지 알아봤어요. 잠깐 앞에서 알아본 것에 대해서 복습해 볼게요. 다시 한 번 '항'이 어떻게 생겼는지 확인해 보세요. 앞에서 알아본 것 처럼 '항'이 하나만 존재하는 다항식을 '단항식'이라고 불러요. 단항식에서 숫자가 아닌 문자로 나타내어진 것을 '변수' 또는 '미지수'라고 부릅니다. 이제 각 '항'을 구별하는 기준에 대해서 알아볼 거에요. 위의 '항'을 살펴보면 문자(변수)와 그 앞에 있는 숫자, 그리고 문자 위에 있는 작은 숫자들로 이루어져 있어요. 여기에서 변수들 앞에 위치한 숫자를 그 항의 `계수'라고 불러요. 또한 각 변수 위에 있는 작은 숫자를 '지수'라고 부르는데, 이 지수부분을 각 변수의 `차수'라고 불러요. 첫 번째에 있는 3처럼 변수 없이 숫자만 있는 것은 ..
수학1
2017. 7. 11. 23:40